Write a comment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. Sign In?
故鄕(평안북도) 方言 채록
( 아래는 임중빈 전 회장님께서 채록하신 것입니다)
ㄱ: 가마티(누룽지) 가무라티(가물치) 까마구(까마귀) 거시가니(거시기)
거라지(거지) 고녕삭이(고령삭이<면>) 고놈이새끼(그놈자식) 고맵끼(고매끼)
고럼(그럼) 고개마루테기(고개마루) 괴기(거기) 그렇티(그렇치)
구대기(구더기) 꾸래미(꾸러미)
ㄴ: 내래 어떠케 알같서(내가 어떻게 알겟서) 넙적다리(허벅다리) 네래(내가)
ㄷ: 당나구(당나귀) 당거리(장거리) 대리미(다리미) 덩강이(정강이)
뎡한수(정화수 井華水) 뎡거당(정거장) 덜구(절구)
뎔(절 寺) 뎔간(절간 寺) 또쟁이(미꾸라지) 디렁이(지렁이)
ㅁ: 메시가니(그거=거시기) 메사구(메기) 멕자구(개구리)
미추광이(미치광이) 미꾸녕(딭구멍 肛門) 민퉁이(바보)
ㅂ: 방광지(누룽지) 백장놈(백정놈) 분탕(당면)
ㅈ: 자뎡거(자전거) 지과(고구마) 텰마산(철마산)
-
No Image
평북과 의주사투리의 역사적 배경
1)평북사투리의 역사적배경 " 평북은 한사군(낙랑, 임둔, 현도, 진번) 시대에는 현도군에 속한 땅이었다가 그후 삼국시대에는 7백년 고구려의 중심판도였기 때문에 언어면에 있어서도 고구려어가 깊이 뿌리 밖였음을 짐작할 수 있고, 고구려가 망한 후에도 『 史記=淸川江以北 靺鞨(만주 동부에 있던 퉁구스 족, 후일...Date2009.09.15 Category일반 By빛고개 Views19551 -
No Image
故鄕(평안북도) 方言 채록
( 아래는 임중빈 전 회장님께서 채록하신 것입니다) ㄱ: 가마티(누룽지) 가무라티(가물치) 까마구(까마귀) 거시가니(거시기) 거라지(거지) 고녕삭이(고령삭이<면>) 고놈이새끼(그놈자식) 고맵끼(고매끼) 고럼(그럼) 고개마루테기(고개마루) 괴기(거기) 그렇티(그렇치) 구대기(구더기) 꾸래미(꾸러미) ㄴ: 내래 어떠케 알같...Date2008.07.25 Category사전 By관리자 Views11901
Designed by sketchbooks.co.kr / sketchbook5 board skin
Sketchbook5, 스케치북5
Sketchbook5, 스케치북5
Sketchbook5, 스케치북5
Sketchbook5, 스케치북5